본문

재테크 입문자들을 위한 금리 용어 및 정보 정리

 

 

금리란?

 

돈을 빌린 사람은 일정기간 돈을 쓰고 난 다음 빌린 원금 외에 돈을 쓴 데 대한 대가를 지불하게 되는데 이를 ‘이자’라 라고 하며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합니다.

 

 

시중금리를 좌우하는 ‘기준금리’

 

한국은행이나 미국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같은 각 국가의 중앙은핸들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는 말 그대로 한 나라의 금리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그래서 기준그림가 오르거나 내리면 단기시장금리, 장기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 각종 금리가 따라서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국내의 금융시장과 경제 상황, 사회 환경, 물가 추이 등을 고려해 년 8회 기준금리를 정하고 있습니다. 

각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이유는 시중에 통화량(돌고 있는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함입니다. 기준금리를 적절히 잘 조절해야 나라의 경제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나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통화량이 늘어나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국면에는 기준금리를 올려 경기를 진정시킵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다른 금리들도 같이 오르기 때문에 대출 이자 부담도 커지게 됩니다. 그러면 대출은 줄어들고 예금은 늘어 시중의 통화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의 매수량도 감소하게 되고, 소비가 줄어 물가가 잡히는 효과도 나타나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 침체시에는 기준금리를 낮춥니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이자 부담이 낮아져 대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사람들은 적극적인 투자와 소비에 나서게 됩니다. 사람들의 소비가 늘면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가격도 오르게 되고 가격이 오르면 시장에 공급되는 통화량도 늘어나게 됩니다. 

 

※ 금리 인상을 논할 때 ‘25bp를 인상했다’, ‘50bp 인상했다’ 등의 ‘bp(basis point)’ 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bp는 금리의 변동융을 나타낼 때 쓰이는 단위로, ‘1bp는 0.01%bp’ 입니다. 금리의 변동율을 0.01bp% 단위로 언급하다 보면 헷갈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bp는 금융시장에서 보다 명확하게 변동율 수치를 전달하기 위해 도입된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환매조건부채권

일정기간 후 다시 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이자를 붙여서 다시 되사는 채권

· 대기성 여수신제도

금융기관이 금액, 횟수 등에 구애받지 않고 재량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도로서 자금조정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100bp, 자금 조정 예금금리는 기준금리 -100bp로 설정

 

 

 

단기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결정되는 ‘콜금리’

 

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자금이 남는 다른 곳에 자금을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콜(call)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러한 금융기관간에 발생한 과부족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이 콜시장입니다. 콜금리는 이 콜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를 의미하는데요. 통상 콜금리는 1일물(Overnight) 금리를 의미하여 단기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콜금리는 재정자금의 동향이나 개인 기업의 현금수요 등을 배경으로 한 금융시장의 수급사정에 의해서 변동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2008년 2월까지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통제해 왔습니다.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금리를 높여 시중 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금리를 낮추어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세우는 등 매달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했고, 통화안정증권이나 국채를 시중은행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량을 조절해 왔습니다. 하지만 콜시장의 금리가 한국은행의 목표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콜시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어 2008년 3월부터 기준금리로 변경되었습니다.

 

· 통화안정증권

한국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금융기관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증권

 

 

기준금리에 붙는 위험가중금리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 혹은 스프레드(Spread)라고 합니다.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가산금리는 시장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아 시장의 흐름을 읽는데 유용하기도 합니다. 가산금리가 대체로 높다면 시장이 불안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베이비 스텝(baby step)

 

‘스텝(step)’ 이란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는 폭을 의미합니다. 스텝 앞에 붙는 단어에 따라 금리를 얼만큼 조정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베이비 스텝(baby step)’은 아기 걸음마 만큼 조정한다는 뜻으로, 금리를 한번에 25bp(0.25%P) 폭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뜻합니다. 이 용어는 앨런 그린스펀 전(前)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처음 쓰기 시작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베이비 스텝보다 더 소폭(10bp ~ 15bp) 조정할 때에는 ‘마이크로 스텝(micro step)’이라는 용어를 씁니다. 

 

 

빅 스텝(big step)

 

‘빅 스텝(big step)’ 은 베이비 스텝의 2배로 금리를 50bp(0.50%P) 폭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빅 스텝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giant step)’ 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자이언트 스텝은 ‘거인의 발걸음’ 이라는 뜻으로 금리를 75bp(0.75%) 폭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뜻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금리관련 용어 및 특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